2024년도 세금계산서 발급 마감일│지연발행시 가산세 부과
보통의 경우 세금계산서 발급은 매출 마감이 되고 나서 바로 진행됩니다.
그러나 만약 바쁜 업무때문에 매출이 발생했는데도 세금계산서 발급이 누락됐다면 어떻게 될까요?
만약 다음달 10일전까지 누락 사실을 알았다고 하면 그때라도 바로 신고 하면 됩니다.
그러나 10일이 지나고 그 이후면 어떻게 될까요?
오늘은 2024년도 세금계산서 발급 마감일 정보와 지연 또는 미 발행시 가산세를 얼마나 부과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1. 2024년도 세금계산서 발급 마감일은?
해당월 | 세금계산서 마감일 |
2024년 1월 | 1월 10일(수) |
2024년 2월 | 2월 13일(화) |
2024년 3월 | 3월 11일(월) |
2024년 4월 | 4월 11일(목) |
2024년 5월 | 5월 10일(금) |
2024년 6월 | 6월 10일(월) |
2024년 7월 | 7월 10일(수) |
2024년 8월 | 8월 12일(월) |
2024년 9월 | 9월 10일(화) |
2024년 10월 | 10월 10일(목) |
2024년 11월 | 11월 11일(월) |
2024년 12월 | 12월 10일(화) |
원칙적으로 세금계산서 발급 마감일은 10일입니다.
하지만 주말이나 공휴일이 있는 경우 휴일을 지난 다음날이 마감일이 됩니다.
세금계산서에 대해서 저 자세하게 알아보고 싶다면 국세청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2.만약 발행일을 놓쳤다면? 어떻게 될까?
지정된 마감일이 지났다고 한다면 지연발행으로 처리가 되고
어쩔 수 없이 발급을 하는 자(공급자)와 고객(공급을 받는자) 모두 가산세를 부과하게 됩니다.
그리고 만약 전체 세금계산서 마감일을 놓치게 되면 미발행으로 처리됩니다.
이럴경우 가산세가 2%까지 부과됩니다.
그러기 때문에 늦었다고 아에 손을 놓기 보다는 가능한 빨리 세금계산서를 발급하는게 좋습니다.
3.가산세는 얼마나 될까?
구분 | 발급자 | 수취자 | |
발급 | 미발급 | 2% | 매입세액 불공제 |
지연발급 | 1% | 0.5% | |
종이발급 | 1% | 해당없음 | |
전송 | 지연발급 | 0.3% | |
미전송 | 0.5% |
위의 표는 최근 많이 이용하고 있는 전자세금계산서를 기준으로 정리해놓은 가산세 비율입니다.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 전송 하지 않는 경우 공급가액에 가산세을을 곱해서 가산세를 부과하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세금계산서를 언제까지 발행해야 하는지, 발행을 안하게 되면 가산세를 얼마나 부과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잊지않고 제때 세금계산서를 발급하는게 가장 좋습니다.
하지만 만약에라도 깜빡 잊고 조금 지났다고 한다면 알아 차린 그때라도 바로 계산서 발급을 하는 것이 가산세를 덜 내는 방법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세금계산서 발급을 아에 안해버리게 된다면 추후 미발행으로 더 큰 세금을 부과하게 됩니다.
'창업정보 > 전문가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과세자, 간이과세자 비교│세금을 절세 하기 위한 최적의 방법은? (0) | 2024.06.20 |
---|---|
개인사업자, 법인설립 후 초기창업패키지 지원할수 있을까? (0) | 2024.02.08 |
개인회생, 신용회복 중에도 창업지원사업 신청할 수 있을까? (3) | 2024.02.02 |
자기부담사업비 계산 잘못하면, 정부 창업지원금 못 받는다고? (1) | 2024.01.28 |
창업지원사업 신청조차도 못 한다면? 인정조건 확인하기 (0) | 2024.01.17 |
댓글